[인문사회] 태극 / 太極 槪念 硏究(一)1) 김병환 (외대철학과 ) 1. 들어가는 말 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3:03
본문
Download : 태극, .hwp
사실 논자의 본래 구상은 태극 관념의 함의를 밝히고자하는 것이었는데, 연구 도중 태극도설과 관련되어 보편적으로 유행하는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먼저 시정해야 한다는 結論에 도달하였다. 여기서 다루는 두 ...
인문사회 태극 / 太極 槪念 硏究一1 김병환 외대철학과 1. 들어가는 말 本
太極 槪念 硏究(一)1) 김병환 (외대철학과) 1. 들어가는 말 本 論...
순서
[인문사회] 태극 / 太極 槪念 硏究(一)1) 김병환 (외대철학과 ) 1. 들어가는 말 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설명





太極 槪念 硏究(一)1) 김병환 (외대철학과) 1. 들어가는 말 本 論...
Download : 태극, .hwp( 66 )
太極 槪念 硏究(一)1) 김병환 (외대철학과) . 들어가는 말 本 論文의 첫 번째 目的은 주돈이 太極圖說의 첫 句節이 “無極而太極” 인지 “自無極而爲太極”인지를 論究하여 보는 것이다. 본문의 논의를 통하여 道藏의「太極先天之圖」가 태극도의 모형이라는 주장이 가진 난점이 상세히 지적 될 것이다. 즉 본래 의도하였던 태극 관념 분석 작업에 선행하여 태극도설과 관련된 오해를 먼저 해결하고자 본 논문이 집필되었다. 두 구절 중 만약 후자가 太極圖說의 본래 문구라면 이는 太極이 無極으로부터 originate 하였다는 의미가 됨으로 太極과 無極 槪念의 관계를 논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본문에서 다루는 두 문제는 주돈이 철학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 논자가 구상하고 있는 연구의 첫 단계에 해당한다. 太極과 無極 관념이 전체 성리학적 사유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생각할 때, 이 두 구절 중 어느 것이 太極圖說의 원문이었나 하는 것은 단순히 판본의 진위 문제를 넘어서는 중대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따 본문의 전반부에서는 왜 많은 宋明理學 硏究들이 太極圖說의 첫 구절이 “自無極而爲太極”이라고 믿게 되었는지를 究明해 보고 이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고찰하여 보겠다. 本 論文의 두 번째 目的은 太極圖의 起源과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주장되어왔고 이제는 거의 학계의 공인된 학설이 된 太極圖가 道藏에서 起源하였다는 주장을 검토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