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2:37
본문
Download :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hwp
마지막으로 제3유형은 정렬모로 대표되는 종합주의로 조사와 어미 모두를 독립적인 품사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 토를 단어로 인정해야 하느냐의 문제에서부터, 인정한다면 어디까지 인정해야 하느냐의 문제에까지 그 theory(이론)이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는데, 이에 대한 처리 대책이 이른바 제1, 2, 3의 문법유형이다. 제1유형은 초기의 대책으로 주시경 문법에서와 같이 체언토(조사)와 용언토(어미) 모두를 독립품사로 인정하는 analysis적인 방법이다.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조...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조사와 어미의 품사분류 문제는 국어학계의 가장 큰 논란중의 하나이다. 제2유형은 최현배로 대표되는 절충주의로 조사만을 독립적인 품사로 인정하는 것이다. 조사와 어미를 독립적인 품사로 인정할 것이냐, 한다면 얼마나 인정할 것이냐의 문제에 따라 문법유형을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아 제1유형은 주시경으로 대표되는 analysis주의로 조사와 어미를 모두 독립적인 품사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논의의 출발점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 대명사 · 수사 · 동사 · 형용사 · 관형사 · 부사 · 감탄사 · 조사로 구성된 9품사 체계를 따르고 있다아 이 품사 체계에 관련되어 수사의 독립 품사 설정이 너무 세분화된 것이라든지, 접속사를 독립 품사로 설정해야 한다든지, 존재사와 지정사를 분리해내야 한다는 등의 부분적인 논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제3유형은 정렬모 문법에서 제기된 것으로 토를 모두 격어미로 처리하는 대책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우리말에 있어서 토의 처리문제는 초창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가장 큰 쟁점으로 부각되어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채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아 토는 신라 설총에까지 소급될 수 있는 용어로 우리말의 체언과 용언의 뒤에 첨부되어 실사의 의미를 도와 주는 문법요소를 지칭하는 말이다. 제2유형은 체언토는 독립품사로 인정하되 용언토는 인정하지 않는 절충적인 방법으로 최현배 문법이 대표적이다. 그럼 이 세 가지 유형에 대해 좀더...
설명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hwp( 76 )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117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D%92%88%EC%82%AC%20%EB%B6%84%EB%A5%98%EC%97%90%EC%84%9C%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D%8C%90%EB%8B%A8%EC%97%90%20%EB%8C%80%ED%95%9C%20%EC%9D%B4%EA%B2%AC%EC%9D%98%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EA%B0%80-1175_01.gif)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117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D%92%88%EC%82%AC%20%EB%B6%84%EB%A5%98%EC%97%90%EC%84%9C%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D%8C%90%EB%8B%A8%EC%97%90%20%EB%8C%80%ED%95%9C%20%EC%9D%B4%EA%B2%AC%EC%9D%98%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EA%B0%80-1175_02_.gif)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117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D%92%88%EC%82%AC%20%EB%B6%84%EB%A5%98%EC%97%90%EC%84%9C%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D%8C%90%EB%8B%A8%EC%97%90%20%EB%8C%80%ED%95%9C%20%EC%9D%B4%EA%B2%AC%EC%9D%98%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EA%B0%80-1175_03_.gif)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117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D%92%88%EC%82%AC%20%EB%B6%84%EB%A5%98%EC%97%90%EC%84%9C%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D%8C%90%EB%8B%A8%EC%97%90%20%EB%8C%80%ED%95%9C%20%EC%9D%B4%EA%B2%AC%EC%9D%98%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EA%B0%80-1175_04_.gif)

인문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가
순서
품사 분류에서 조사와 어미의 판단에 대한 이견의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