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1 / 노동법상 해고절차의 위반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3:35
본문
Download :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1.hwp





노동법상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노동법상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1. 징계절차위반...
노동법상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1. 징계절차위반...
순서
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함에 있어서 근로자의 노동조합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를 그 실질적 이유로 삼았으면서도 표면적으로는 다른 해고사유를 들어 해고한 것으로 인정되어 그것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는 사용자측이 내세우는 해고사유와 근로자가 한 노동조합업무를 위한 정당한 행위의 내용, 징계해고를 한 시기, 사용자와 노동조합과의 관계, 기타 부당노동행위의사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제반 사정을 비교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징계절차가 단체협약에 정하여진 규정에 위반되었다는 등의 사정이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 의사를 판단하는 하나의 reference(자료)가 될 수는 있다 하더라도 그 징계절차 위반의 점이 해고무효사유가 되는지의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에 당연히 影響(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인바(당원 1990. 12. 26. 선고 90누2116 판결; 1992. 2. 28. 선고 91누9572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참가인 회사가 원고를 해고함에 있어 비록 단체협약상의 협의를 거친 바 없다 하더라도 원고의 정당한 노동조합활동을 혐오하고 이로부터 원고를 배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원심판시와 같은 해고사유를 표면적인 이유로 내세워 이 사건 해고에 나아간 것으로 볼만한 증거는 없으므로 원심판결에 위 단체협약 제13조 제4호의 해석을 그르쳤다거나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도 없다. .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ƒ. 징계절차위반과 부당노동행위 성립
Download :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1.hwp( 76 )
인문사회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1 노동법상 해고절차의 위반과
다.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누13035 판결) 비슷한 취지의 판결로 대법원 1990. 8. 10. 선고 89누...
[인문사회] 해고절차의 위반과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1 / 노동법상 해고절차의 위반과
- 징계절차가 단체협약에 정하여진 규정에 위반되었다는 등의 사정이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의사를 판단하는 하나의 reference(자료)가 될 수는 있다 하더라도 그 징계절차위반의 점이 해고무효사유가 되는지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부당노동행위의 성립에 당연히 影響(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는 것은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