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과 퇴계의 천명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5:36
본문
Download : 역학과 퇴계의 천명사상.hwp
인간은 대체로 현상유지를 바라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아 종과 시의 대변혁은 새로운 질서를 낳게 마련인데, 인간은 이 새로운 질서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그 안에서의 자신의 위치가 어떠할지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게 된다된다. 이러한 인간의 근심을 해소하기 위하여 역을 지은 자는 ‘두려운 마음으로 종시를 대하라 그러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회복이라는 의미를 갖는 이 괘는 한줄기 광명이 흑암의 밑바닥에서 생겨남을 상징한다.순서
천지는 일원을 주기로 한번 개벽한다거나, 현재의 천지가 끝나면 다른 천지가 나타날 것이요, 그 천지에서의 도수는 현재 천지의 도수와 반드시 일치...
설명
천지는 일원을 주기로 한번 개벽한다거나, 현재의 천지가 끝나면 다른 천지가 나타날 것이요, 그 천지에서의 도수는 현재 천지의 도수와 반드시 일치... , 역학과 퇴계의 천명사상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역학과 퇴계의 천명사상.hwp( 27 )
역학과 퇴계의 천명사상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Ⅰ. 서 론
Ⅱ. 천지지도와 만물지정-변물의 철학
Ⅲ. 만물의 감응론과 인의 우주론적
차원
Ⅳ. 세심의 철학-자연과 인간존재에
대한 `경`
Ⅴ. 맺음말
천지는 일원을 주기로 한번 개벽한다거나, 현재의 천지가 끝나면 다른 천지가 나타날 것이요, 그 천지에서의 도수는 현재 천지의 도수와 반드시 일치한다고 말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소강철, 주희, 정몽주, 서경덕등에게서 동지를 읊은 시들을 볼 수 있다아 …(To be continued )
다. 역에서의 천지는 만물을 생성 change(변화)하게 하는 힘을 갖고 있다아 천지가 만물을 생성 change(변화)하게 하는 것은 하늘의 양기와 땅의 음기가 교감 소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의 하늘의 양과 땅의 음은 다음과 같은 범주적 분류가 가능하다. 복괘는 회복의 의미를 갖는 것이기에 十翼의 작가는 복괘에서 천지의 마음을 볼 수 있다고 하였고, 이후 많은 역학자들이 이 복괘를 소재로 천지의 무궁한 생명력을 찬양하는 시를 짓기도 하였다. 여기서 생겨났다함은 전혀 없던 것이 새로 생겼다는 것이 아니라 전에 있던 것이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이다. 천지안에 생기로 충만하여 있음을 보여주는 괘가 바로 復괘 ( )이다. ‘懼以終始 其要无 此之謂易之道也’ 「繁辭」 下 11장
라고 하였다. 이것을 일러 역의 도라고 한다. 그런데 마침과 처음 의 사이에는 언제나 큰 change(변화)가 있게 마련이다. 즉 乾 天과 坤 地는 크다/지극하다,-597-
만물이 처음 하는 바탕/만물이 태어나는 바탕, 남성/여성, 씩씩하다/온순하다, 쉽다/간단하다, 높다/낮다, 주재한다/이루어낸다 등으로 대비되고 있다아 이처럼 상대자와의 교감 감응에 의하여 만물이 생성되지만 근본적으로는 천지가 생기로 가득차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가능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