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연행록 속 china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china인, 생활모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19:20
본문
Download :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인, 생활모습.pptx
레포트/생활전문
열하일기,연행록,속,중국음식과,조선,사신이,본,중국인,생활모습,생활전문,레포트
순서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인, 생활모습 ,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인, 생활모습생활전문레포트 ,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인 생활모습
열하일기, 연행록 속 china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china인, 생활모습
_SLIDE_1_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中國)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中國)인, 생활모습
_SLIDE_2_
목차
_SLIDE_3_
박지원과 열하일기(熱河日記)
_SLIDE_4_
연행록(燕行錄) introduction
_SLIDE_5_
연행록(燕行錄) 작가 introduction
(1) 최덕중(崔德中)
_SLIDE_6_
연행록 작가 introduction
(2) 김establishment (金昌業)
본관 안동. 자 대유(大有). 호 노가재(老稼齋). 1681년(숙종 7)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 마음이 없어 관직에 나가지 않고 송계(松溪:서울 성북구 장위동)에서 전원생활을 함.
1712년 형 창집(昌集)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자, 그를 따라 연경(燕京)에 다녀와 기행문 《노가재연행일기(燕行日記)》를 썼다. 벌써 촛불을 네 자루나 켜 놓고, 큰 교자상에 음식을 잘 차려 두었다. 이윽고 다 물리고는, 다시 채소와 과실만 각기 두 접시씩 차리고, 소주 한 주전자로 시름시름 따라 가면서 조용히 이야기들을 하였다. …(To be continued )
열하일기, 연행록 속 china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china인, 생활모습
설명
Download :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인, 생활모습.pptx( 78 )
다. 떡이나 과실들은 모두 자 넘어 높이 괴었다. 향고(香) 세 그릇, 각색 사탕 세 그릇, 용안육(龍眼肉)ㆍ여지(支)ㆍ낙화생(落花生)ㆍ매실(梅實) 서너 그릇, 닭ㆍ거위ㆍ오리 들을 주둥이와 발이 달린 채로, 또 통돼지를 껍질만 벗겨서 용안육ㆍ여지ㆍ대추ㆍ밤ㆍ마늘ㆍ후추ㆍ호도ㆍ살구씨ㆍ수박씨 등을 섞어 쪄서 떡같이 만들었는데, 맛은 달고 매끄러우면서도 너무 짜서 먹기는 어려웠다.
조선 후기에 유행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에 크게 影響을 ...
_SLIDE_1_
열하일기, 연행록 속 중국(中國)음식과 조선 사신이 본 중국(中國)인, 생활모습
_SLIDE_2_
목차
_SLIDE_3_
박지원과 열하일기(熱河日記)
_SLIDE_4_
연행록(燕行錄) introduction
_SLIDE_5_
연행록(燕行錄) 작가 introduction
(1) 최덕중(崔德中)
_SLIDE_6_
연행록 작가 introduction
(2) 김establishment (金昌業)
본관 안동. 자 대유(大有). 호 노가재(老稼齋). 1681년(숙종 7)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 마음이 없어 관직에 나가지 않고 송계(松溪:서울 성북구 장위동)에서 전원생활을 함.
1712년 형 창집(昌集)이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자, 그를 따라 연경(燕京)에 다녀와 기행문 《노가재연행일기(燕行日記)》를 썼다.
중국(中國)의 산천과 풍속, 문물제도와 이때 만난 중국(中國)의 유생, 도류(道流)들과의 대화를 상세히 기록하여 역대 연행록 중에서 가장 좋은 책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특별히 나를 위해서 차린 것이다. 이야기는 〈황교문답(黃敎問答)〉 중에 실려 있따 닭이 두 홰째나 울어서 자리를 파하고 숙소에 돌아와 누워 이리 뒤척 저리 뒤척 잠을 이루지 못했는데, 하인들이 벌써 일어나라고 깨운다.
조선 후기에 유행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에 크게 影響을 미침.
_SLIDE_7_
연행록 속 중국(中國)음식
기공은 나를 이끌고 자기 방으로 들었다.
중국(中國)의 산천과 풍속, 문물제도와 이때 만난 중국(中國)의 유생, 도류(道流)들과의 대화를 상세히 기록하여 역대 연행록 중에서 가장 좋은 책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