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사회복지실천기술론] hear and now (기능주의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04:24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hear and now (기능주의 모델).hwp
순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hear%20and%20now%20(기능주의%20모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hear%20and%20now%20(%EA%B8%B0%EB%8A%A5%EC%A3%BC%EC%9D%98%20%EB%AA%A8%EB%8D%B8)_hwp_01.gif)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hear%20and%20now%20(기능주의%20모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hear%20and%20now%20(%EA%B8%B0%EB%8A%A5%EC%A3%BC%EC%9D%98%20%EB%AA%A8%EB%8D%B8)_hwp_02.gif)
![[사회복지실천기술론]%20hear%20and%20now%20(기능주의%20모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A%B8%B0%EC%88%A0%EB%A1%A0%5D%20hear%20and%20now%20(%EA%B8%B0%EB%8A%A5%EC%A3%BC%EC%9D%98%20%EB%AA%A8%EB%8D%B8)_hwp_03.gif)
1. 기능주의 모델의 배경
2. 정신분석-진단주의 vs 기능주의
3. Otto Rank의 影響(영향)
4. 기능주의 학파
5. R. Smalley 의 일반원칙 (5원칙)
- 원칙 1: 진단
- 원칙 2: 시간의 사용
- 원칙 3: 기관의 기능
- 원칙 4: 구조의 의식적 사용
- 원칙 5: 관계의 활용
6. 기능주의모델의 한계점 및 影響(영향)
사회사업방법을 개입행동의 레퍼토리로 주로 워커의 행동으로 언급해왔다.
3. Otto Rank의 影響(영향)
랑크는 life(인생) 을 고통스러운 출생과 함께 처음 되는 이별의 연속이라고 표현하였으며, life(인생) 은 처음 과 끝이 한정된 것으로 이 시간들 내에 충만한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사람은 개인적 의지를 발휘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랑크의 치료경향은 ‘hear and now(지금 여기에)`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양상들에 초점을 맞추어 시간제한성을 둔 것으로 유명하다. 즉, 개인이 불행한 유아기를 보냈건 혹은 역기능적 태도를 지녔건 간에 적극적 수용을 통해 개별적 존재로 나아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hear and now (기능주의 모델)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러나 기능주의에서는 케이스워크 定義(정의) 을 원조과정으로 발전시켰다.
랑크는 치료시간을 처음 과 끝이 있는 life(인생) 의 축소판으로 간주하면서 과거나 未來(미래)보다는 현재를 더욱 중시했으며, 클라이언트가 치료과정에 갖게 되는 생각, 행동을 분석하기 보다는 그 자체를 경함할 것을 권장했다. 즉, 워커와 클라이언트는 원조의 결과가 어떠할지를 함께 발견해나가는 입장에 선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hear and now (기능주의 모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hear and now (기능주의 모델).hwp( 65 )
설명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능주의 모델에 대해서 기능주의 모델의 등장배경과 Otto Rank의 영향, 기능주의 학파 및 R. Smalley 의 일반원칙 등을 살펴보고, 기능주의모델의 한계점 및 영향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한 자료입니다. 치료의 지속 혹은 종결에 관한 갈등들…(drop)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기능주의 모델에 관련되어 기능주의 모델의 등장배경과 Otto Rank의 effect(영향) , 기능주의 학파 및 R. Smalley 의 일반원칙 등을 살펴보고, 기능주의모델의 한계점 및 effect(영향) 에 관련되어 간략히 요약한 資料입니다.